티스토리 뷰
어쩌다, 우연히, 무심코 보게 된 일드 <라이어 게임>. 그런데 내 스타일에 꼭 맞아서 거의 정신놓고 본 것 같다. 그렇게 본 것이 <라이어 게임> 시즌 1, 시즌 2, 그리고 영화 <라이어 게임 - 더 파이널 스테이지>이다.
나는 이 드라마를 보면서 주어진 패와 룰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. 사실 나는 이 부분이 너무나 약해서 어릴 때부터 엄마에게 '넌 좀 야무져야 돼'라는 말을 지겨울 정도로 들었고, 오히려 그 반동으로 더 안 야무져진 오늘날의 나는 아마 라이어게임 같은 게 나가게 된다면 실컨 이용만 당하고 너덜너덜 빚만 잔뜩 지고 퇴장될 것이다.
그런데 말이다, 드라마에서처럼 주어진 패와 룰, 그리고 한정된 공간과 상황에서 극대화된 게임은 컨텐츠를 위한 것이지만 그 안에는 사람이 살아가는 모습이 담겨있다. 컨텐츠로 만들어내기 위해 더 진하고 극단적으로 치닫을 뿐. 가만 살펴보자. 우리 인생은 모두 라이어 게임의 변형들 아니던가.
사람이 태어나고 '사회'라는 곳에 입장을 하게되는 그 순간 '라이어 게임'은 그림자처럼 들러붙는다. 사람의 역사는 또 안 그런가. 전 세계적인 라이어 게임이 바로 세계사이다. 무엇이 옳고 그른지는 난 모른다. 하지만 거대한 게임 속엔 게임이 있고 또 게임이 있고 또 게임이 있다.
러시아의 유명한 인형, 마트료시카처럼 말이다.
DSC_2879 by Cha già José |
라이어 게임에서 이길 수록 큰 돈을 번다. 그리고 권력도 얻는다. 우리 사회와 똑같다. 아주 작은 단위인 사회에서도 똑같다. 물론, 비열하게 이길 경우는 업보가 따르겠지만 말이다.
먹고 산다는 것 역시, 라이어 게임이다. 강하냐 약하냐 혹은 단순하냐 복잡하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.
나는 나에게 주어진 라이어 게임을 어떻게 풀어나가고 있는건지? 기권을 하게되면 그 다음은 어떻게 되는건지? 아니면 새로운 길을 찾아낼 수 있는건지? (게임의 룰 자체를 바꿔버릴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말이다.)
<라이어 게임>은 재미도 무척 있지만 단순한 재미만의 문제는 아니다라는 생각이 자꾸만 든다.
먹는언니의 국수연구소 [누들로] http://noodlero.com
먹는언니의 페이스북 http://facebook.com/foodsister
'PLA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캠핑을 빙자한 1박 2일 마을여행, 협빙모 캠핑(1) : 경기 포천시 팜토리에서 (0) | 2013.11.04 |
---|---|
[8090메모리즈] 내게 흥미로웠던 영화, 구니스(아빠, 어디가 무인도 편을 보고) (0) | 2013.08.26 |
오타쿠의 비디오 - 오타쿠의, 오타쿠에 의한 오타쿠를 위한 우주정복?! (0) | 2013.06.30 |
야구공 팔찌, aball - 선수들의 사인을 받아 수집하기에 좋네요(스포츠뱅글) (0) | 2013.06.26 |
남자의 승부욕을 자극하는 남성화장품 이벤트, DTRT (0) | 2013.06.24 |